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1992년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를 계승하여 시작된 세르비아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이 변경되면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로, 2006년 몬테네그로 독립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리그는 16개 팀이 참가하는 정규 시즌과 상위 8팀, 하위 8팀으로 나뉘어 진행되는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통해 진행되며,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에 진출한다. FK 츠르베나 즈베즈다와 FK 파르티잔이 리그를 지배하며,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KOVO컵
    KOVO컵은 대한민국 프로 배구팀들이 참가하는 연례 컵 대회이며, 스폰서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고,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며, 우승팀 등을 시상한다.
  • 2006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 (독립 리그)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은 2006년에 창설된 독립 야구 리그이며, 동부와 서부 디비전으로 나뉘어 대학 선수, 메이저 및 마이너 리그 출신 선수들이 활동한다.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기본 정보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로고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로고
국가세르비아
연맹UEFA
창립 연도2006년
참가 팀 수16
강등 리그세르비아 프르바리가
리그 등급1
국내 컵세르비아 컵
대륙 컵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최근 우승 팀츠르베나 즈베즈다 (10번째 우승)
현재 시즌2023-24 시즌
최다 우승 팀츠르베나 즈베즈다 (10회)
최다 출장얀코 툼바세비치 (390경기)
최다 득점알렉산다르 카타이 (107골)
텔레비전 중계아레나 스포르트
아드리아 TV
스포르트클럽 슬로베니아
매치 TV
웹사이트superliga.rs
차기 시즌2024-25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명칭
세르비아어Супер лига Србије / Super liga Srbije (수페르 리가 스르비예)
기타 표기Суперлига Србије (수페르리가 스르비예)
Mozzart Bet Superliga (모차르트 베트 수페르리가)

2. 역사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1992년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를 계승하여 이어져 온 리그이다. 2003년 유고슬라비아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변경하면서 리그 명칭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로 바뀌었다. 이후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현재의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로 최종 변경되었다.

1992년부터 2006년까지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클럽들이 함께 리그에 참가했다.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한 후에는 세르비아 클럽들만으로 리그가 구성되었다.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시즌별 결과 (1992-2006)

시즌우승팀준우승팀3위득점왕
1992–93파르티잔 (12)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안토 드로브냐크 (츠르베나 즈베즈다)
베스코 미하일로비치 (보이보디나)
22
1993–94파르티잔 (13)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21
1994–95츠르베나 즈베즈다 (21)파르티잔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30
1995–96파르티잔 (14)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보이슬라브 부디미로비치 (추카리치키)23
1996–97파르티잔 (15)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조란 요비치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
1997–98오빌리치 (1)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사샤 마르코비치 (젤레즈니크 / 츠르베나 즈베즈다)27
1998–99파르티잔 (16)오빌리치츠르베나 즈베즈다데얀 오스마노비치 (하이두크 쿨라)16
1999–00츠르베나 즈베즈다 (22)파르티잔오빌리치마테야 케즈만 (파르티잔)27
2000–01츠르베나 즈베즈다 (23)파르티잔오빌리치페타르 디비치 (OFK 베오그라드)27
2001–02파르티잔 (17)츠르베나 즈베즈다사르티드조란 듀라슈코비치 (믈라도스트 루차니)27
2002–03파르티잔 (18)츠르베나 즈베즈다OFK 베오그라드즈보니미르 부키치 (파르티잔)22
2003–04츠르베나 즈베즈다 (24)파르티잔젤레즈니크니콜라 지기치 (츠르베나 즈베즈다)19
2004–05파르티잔 (19)츠르베나 즈베즈다제타마르코 판텔리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
2005–06츠르베나 즈베즈다 (25)파르티잔보주도바츠스르잔 라돈지치 (파르티잔)20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클럽별 우승 횟수 (1992-2006)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파르티잔8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51
츠르베나 즈베즈다51995, 2000, 2001, 2004, 200681
오빌리치1199812
보이보디나5
사르티드1
OFK 베오그라드1
젤레즈니크1
보주도바츠1



2006년 이후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스폰서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06-2008: '''메리디안 수페르리가'''
  • 2008-2015: '''옐렌 수페르리가'''
  • 2015-2019: '''수페르리가'''
  • 2019-2022: '''링롱 타이어 수페르리가'''
  • 2022-2025: '''모차르트 베트 수페르리가'''

2. 1. 세르비아 리그 (1920-1922 / 1940-1944 / 1946)

OFK 베오그라드와 유고슬라비아는 1920년부터 1922년까지, 그리고 1941년부터 1943년을 포함한 1944년까지 세르비아 리그에서 활동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1946년에 세르비아 리그에 참여했다.

클럽우승우승 연도
OFK 베오그라드51920, 1921, 1941, 1943, 1944
유고슬라비아21922, 1942
츠르베나 즈베즈다11946


2. 2. 유고슬라비아 왕국 리그 (1923-1940)

유고슬라비아 퍼스트 리그는 1923년에 시작되었으며,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뛰어난 클럽들을 모았다.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
OFK 베오그라드51931, 1933, 1935, 1936, 19394
유고슬라비아21924, 19253


2. 3.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1946-1992)

유고슬라비아 퍼스트 리그는 1923년에 시작되었으며, 옛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뛰어난 클럽들을 모았다. 1991년,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의 클럽들이 떠나 자체 리그 시스템을 구축했고, 1992년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마케도니아의 클럽들도 떠났다. 유고슬라비아 퍼스트 리그는 1992년부터 세르비아몬테네그로의 클럽들로 진행되었으며,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을 선언하고 자체 리그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종료되었다.

클럽우승 횟수우승 연도준우승3위
츠르베나 즈베즈다191951, 1953, 1956, 1957, 1959, 1960, 1964, 1968, 1969, 1970, 1973, 1977, 1980, 1981, 1984, 1988, 1990, 1991, 199297
파르티잔111947, 1949, 1961, 1962, 1963, 1965, 1976, 1978, 1983, 1986, 198798
보이보디나21966, 198932
OFK 베오그라드22
라드니키 베오그라드2
라드니키 니시2


2. 4.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1992-2006)

베스코 미하일로비치 (보이보디나)221993–94파르티잔 (13)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211994–95츠르베나 즈베즈다 (21)파르티잔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301995–96파르티잔 (14)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보이슬라브 부디미로비치 (추카리치키)231996–97파르티잔 (15)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조란 요비치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1997–98오빌리치 (1)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사샤 마르코비치 (젤레즈니크 / 츠르베나 즈베즈다)271998–99파르티잔 (16)오빌리치츠르베나 즈베즈다데얀 오스마노비치 (하이두크 쿨라)161999–00츠르베나 즈베즈다 (22)파르티잔오빌리치마테야 케즈만 (파르티잔)272000–01츠르베나 즈베즈다 (23)파르티잔오빌리치페타르 디비치 (OFK 베오그라드)272001–02파르티잔 (17)츠르베나 즈베즈다사르티드조란 듀라슈코비치 (믈라도스트 루차니)272002–03파르티잔 (18)츠르베나 즈베즈다OFK 베오그라드즈보니미르 부키치 (파르티잔)222003–04츠르베나 즈베즈다 (24)파르티잔젤레즈니크니콜라 지기치 (츠르베나 즈베즈다)192004–05파르티잔 (19)츠르베나 즈베즈다제타마르코 판텔리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2005–06츠르베나 즈베즈다 (25)파르티잔보주도바츠스르잔 라돈지치 (파르티잔)20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파르티잔8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51
츠르베나 즈베즈다51995, 2000, 2001, 2004, 200681
오빌리치1199812
보이보디나5
사르티드1
OFK 베오그라드1
젤레즈니크1
보주도바츠1


2. 5.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2006-현재)

베스코 미하일로비치 (보이보디나)221993–94파르티잔 (13)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211994–95츠르베나 즈베즈다 (21)파르티잔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301995–96파르티잔 (14)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보이슬라브 부디미로비치 (추카리치키)231996–97파르티잔 (15)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조란 요비치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1997–98오빌리치 (1)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사샤 마르코비치 (젤레즈니크 / 츠르베나 즈베즈다)271998–99파르티잔 (16)오빌리치츠르베나 즈베즈다데얀 오스마노비치 (하이두크 쿨라)161999–00츠르베나 즈베즈다 (22)파르티잔오빌리치마테야 케즈만 (파르티잔)272000–01츠르베나 즈베즈다 (23)파르티잔오빌리치페타르 디비치 (OFK 베오그라드)272001–02파르티잔 (17)츠르베나 즈베즈다사르티드조란 듀라슈코비치 (믈라도스트 루차니)272002–03파르티잔 (18)츠르베나 즈베즈다OFK 베오그라드즈보니미르 부키치 (파르티잔)222003–04츠르베나 즈베즈다 (24)파르티잔젤레즈니크니콜라 지기치 (츠르베나 즈베즈다)192004–05파르티잔 (19)츠르베나 즈베즈다제타마르코 판텔리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2005–06츠르베나 즈베즈다 (25)파르티잔보주도바츠스르잔 라돈지치 (파르티잔)20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 클럽별 우승 횟수 (1992-2006)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파르티잔8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51
츠르베나 즈베즈다51995, 2000, 2001, 2004, 200681
오빌리치1199812
보이보디나5
사르티드1
OFK 베오그라드1
젤레즈니크1
보주도바츠1



2006년 이후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스폰서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리그 형식

수페르리가는 시청률과 경쟁을 높이기 위해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첫 시즌 이후 리그 형식이 변경되었다. 2007-08 시즌에는 12개 팀이 서로 세 번씩 경기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09-10 시즌부터는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총 30라운드로 진행되었다.

2015-16 시즌부터는 다시 플레이오프 시스템이 도입되어 상위 8개 팀은 챔피언십 라운드, 하위 8개 팀은 강등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경쟁한다. 최하위 두 팀은 프르바리가로 강등된다.

3. 1. 경기 방식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시청률을 높이고 경쟁을 개선하기 위해 플레이오프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첫 시즌 이후 변경되었다. 2007-08 시즌부터는 12개 팀이 세 번씩 경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2009-10 시즌부터는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0라운드를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5-16 시즌부터 다시 플레이오프 시스템으로 돌아와 상위 8개 팀은 챔피언십 라운드, 하위 8개 팀은 강등 플레이오프 라운드를 치른다. 최하위 2개 팀은 프르바리가로 강등되고, *세르비아 프르바리가 3위 팀은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14위팀과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현재는 2라운드 풀 리그(30경기) 후 상, 하위 8개 팀으로 나뉘어 1라운드 풀 리그(7경기)를 치르는 방식이다. 우승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2위 팀은 챔피언스리그 예선, 세르비아 컵 우승 팀은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3, 4위 팀(컵 우승팀 수페르리가 성적에 따라 5위)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진출한다. 13위 팀은 1부 리그 4위, 14위 팀은 1부 리그 3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며, 15, 16위 팀은 자동 강등된다.

3. 2. UEFA 클럽 대항전 진출권

수페르리가 우승팀과 준우승팀은 각각 UEFA 챔피언스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와 2차 예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참가한다.[1] 컵 우승팀은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한다.[1] 3위와 4위 팀은 각각 3차 예선과 2차 예선 라운드에 진출하여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참가한다.[1]

2022-23 시즌, 러시아 팀의 출전 정지로 챔피언스 리그 진출권이 변경되면서 우승팀 FK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진출을 보장받았고, 세르비아는 UEFA 계수 순위 11위를 기록했다.[1] TSC 또한 챔피언스 리그 2차 예선 라운드에서 3차 예선 라운드로 진출했다.[1] 이는 세르비아가 사상 처음으로 챔피언스 리그 조별 리그 진출권을 확보했음을 의미한다.[1]

16개 클럽이 2라운드 풀 리그 방식으로 정규 시즌을 진행한 후, 30경기 종료 시점에 상위 8개 클럽(플레이오프)과 하위 8개 클럽(플레이아웃)으로 나뉘어 1라운드 풀 리그 방식으로 포스트 시즌을 진행한다. 우승 클럽에게는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출전권, 2위 클럽에게는 챔피언스리그 예선 출전권, 세르비아 컵 우승 클럽에게는 UEFA 유로파 리그 예선 출전권, 3위 클럽과 4위 클럽(컵 우승 클럽이 수페르리가에서 예선 출전권을 얻은 경우에는 5위 클럽으로 이월)에게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 출전권이 주어진다.

4. 참가팀 (2024-25 시즌)

2024–25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시즌에는 총 16개 팀이 참가한다.



하위 섹션인 "참가팀 목록"에 2024-25시즌 참가팀들의 정보 (구단, 위치, 경기장, 수용 인원)가 표 형태로 자세히 제시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연고지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4. 1. 참가팀 목록

2024-25 시즌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구단위치경기장수용 인원
나프레다크크루셰바츠스타디온 믈라도스트 크루셰바츠10,331
노비파자르노비파자르그라드스키 스타디온 노비파자르12,000
믈라도스트 루차니루차니스타디온 믈라도스트 루차니7,000
보이보디나노비사드스타디온 카라조르제14,853
라드니치키 1923크라구예바츠스타디온 치카 다차15,100
라드니치키 니시니시스타디온 차이르18,151
스파르타크 수보티차수보티차그라드스키 스타디온 수보티차13,000
예딘스트보 Ub우브스타디온 드라간 자이치 자야4,000
젤레즈니차르 판체보판체보스타디온 SC 믈라도스트1,200
추카리치키베오그라드스타디온 추카리치키4,070
츠르베나 즈베즈다베오그라드스타디온 츠르베나 즈베즈다53,000
텍스틸라츠 오자치오자치스타디온 슬라브코 말레틴 바바4,000
파르티잔베오그라드스타디온 파르티자나29,775
IMT베오그라드스타디온 FK 보주도바츠5,175
OFK 베오그라드베오그라드그라드스키 스타디온 포드 크랄레비촘19,100
TSC바치카 토폴라TSC 아레나4,500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2006년 창설 이후 현재 시즌까지 출전한 클럽 목록이다. 2024–25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 활약하는 팀은 굵게 표시되어 있다. 총 41개 팀이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 참가했다.

순위도시시즌경기득점실점승점1위2위3위Prvi nastup|첫 출전srOd tada/Poslednji nastup|수페르리가 출전 시즌/마지막 시즌sr최고 성적
1츠르베나 즈베즈다베오그라드1860546784541358419148510712006–072006–07
2파르티잔베오그라드186054279880125644113798812006–072006–07
3보이보디나노비사드186052911501648576061023172006–072006–07
4추카리치키베오그라드1551321512517368059077052007–082013–14
5스파르타크수보티차155071801291985886466692009–102009–10
6라드니치키니시12417163111143509483600112012–132012–13
7보주도바츠베오그라드12418145961784675495312006–072023–24
8나프레다크크루셰바츠134461421051994665795312007–082016–17
9믈라도스트루차니113901371011524445265122007–082014–15
10야보르이바니차134361261291814265425072008–092023–24
11라드베오그라드134291291051954185514922008–092020–21
12OFK 베오그라드베오그라드103151126413934539940012006–072024–25
13노비 파자르노비파자르10343107791573524714002011–122020–21
14라드니크수르둘리차932793851493344633642015–162023–24
15보라츠차차크1032989891512774083562006–072017–18
16야고디나야고디나8250876010326829632112008–092015–16
17TSC 바츠카 토폴라바치카 토폴라5179914246319211315112019–202019–20
18라드니치키 1923크라구예바츠723168631002453172672011–122021–22
19하이두크쿨라72186459951942482512006–072012–13
20메탈라츠고르니밀라노바츠723959661142173342432009–102021–22
21스메데레보스메데레보61855042931532401922006–072012–13
22슬로보다우지체41204532431361451672010–112013–14
23프롤레테르노비사드41424036661291871562018–192021–22
24BSK 보르차베오그라드4120313059911701262009–102012–13
25OFK 바치카바치카팔란카41493226911232461222016–172020–21
26마츠바샤바츠41423030821062241202017–182020–21
27바나트즈레냐닌398252647911411012006–072008–09
28도니 스렘페친치39022264280116922012–132014–15
29인지야인지야39824146084161862010–112020–21
30제문베오그라드310618266292163802006–072018–19
31콜루바라라자레바츠27425123770122782021–222022–23
32베자니야베오그라드2651716326789672006–072007–08
33IMT베오그라드137119174353422023–242023–24
34믈라도스트아파틴132118132533412006–072006–07
35젤레즈니차르판체보137109184765392023–242023–24
36디나모브라네13796222467332018–192018–19
37믈라도스트노비사드137612192549302022–232022–23
38즐라티보르차예티나13878232864292020–212020–21
39믈라디 라드니크포자레바츠130510151947252009–102009–10
40예딘스트보우브2024–252024–25
41텍스틸라츠오자치2024–252024–25



2024–25 리그 또는 상태:

style="width:10px; background:#ace1af;"|2024–25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style="width:10px; background:#fbe08d;"|2024–25 세르비아 프르바리가
style="width:10px; background:#c1ddfd;"|2024–25 세르비아 리그
style="width:10px; background:#ff8000;"|2024–25 4부 리그 또는 하위 리그
style="width:10px; background:#fccccc;"|해산


4. 2. 팀 위치 (지도)



2024-25 시즌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참가팀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5. 역대 우승팀

유고슬라비아 퍼스트 리그는 1923년에 시작되어 유고슬라비아 최고의 클럽들이 참가했다. 1991년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1992년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마케도니아가 각각 독립하면서 리그를 떠났다. 1992년부터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클럽들만으로 리그가 진행되었고,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리그는 종료되었다. 이후 세르비아 클럽들만으로 세르비아 수페르리가가 시작되었다.

클럽우승우승 연도
OFK 베오그라드51920, 1921, 1941, 1943, 1944
유고슬라비아21922, 1942
츠르베나 즈베즈다11946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
OFK 베오그라드51931, 1933, 1935, 1936, 19394
유고슬라비아21924, 19253



클럽우승 횟수우승 연도준우승3위
츠르베나 즈베즈다191951, 1953, 1956, 1957, 1959, 1960, 1964, 1968, 1969, 1970, 1973, 1977, 1980, 1981, 1984, 1988, 1990, 1991, 199297
파르티잔111947, 1949, 1961, 1962, 1963, 1965, 1976, 1978, 1983, 1986, 198798
보이보디나21966, 198932
OFK 베오그라드0022
라드니키 베오그라드0002
라드니키 니시0002



1992년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는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Prva savezna liga'' 또는 ''Meridian SuperLiga'')로 개편되어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클럽들이 참가했다. 1992년부터 2002년까지 FR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는 총 41개 클럽이 참가했으며, 이 중 34개 클럽은 세르비아, 6개 클럽은 몬테네그로, 1개 클럽(보라츠 바냐 루카)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이었다.

시즌우승팀준우승팀3위득점왕
1992–93파르티잔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안토 드로브냐크 (츠르베나 즈베즈다)
베스코 미하일로비치 (보이보디나)
22
1993–94파르티잔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21
1994–95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보이보디나사보 밀로셰비치 (파르티잔)30
1995–96파르티잔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보이슬라브 부디미로비치 (추카리치키)23
1996–97파르티잔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조란 요비치치 (츠르베나 즈베즈다)21
1997–98오빌리치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사샤 마르코비치 (젤레즈니크 / 츠르베나 즈베즈다)27
1998–99파르티잔오빌리치츠르베나 즈베즈다데얀 오스마노비치 (하이두크 쿨라)16
1999–00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오빌리치마테야 케즈만 (파르티잔)27
2000–01츠르베나 즈베즈다파르티잔오빌리치페타르 디비치 (OFK 베오그라드)27
2001–02파르티잔츠르베나 즈베즈다사르티드조란 듀라슈코비치 (믈라도스트 루차니)27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파르티잔8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51
츠르베나 즈베즈다51995, 2000, 2001, 2004, 200681
오빌리치1199812
보이보디나005
사르티드001
OFK 베오그라드001
젤레즈니크001
보주도바츠001



구단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츠르베나 즈베즈다351946, 1951, 1953, 1956, 1957, 1959, 1960, 1964, 1968, 1969, 1970, 1973, 1977, 1980, 1981, 1984, 1988, 1990, 1991, 1992, 1995, 2000, 2001, 2004, 2006, 2007, 2014,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24
파르티잔271947, 1949, 1961, 1962, 1963, 1965, 1976, 1978, 1983, 1986, 1987, 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722
OFK 베오그라드51931, 1933, 1935, 1936, 19396
보이보디나21966, 19894
유고슬라비아21924, 19253
오빌리치119981


5. 1.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2002-2006)

2002년, FR 유고슬라비아는 국명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변경했고, 이에 따라 리그 이름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로 바뀌었다. 이 리그는 2006년까지 유지되었다. 2006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분리되면서 각자 상위 리그(세르비아 수페르리가와 몬테네그로 1부 리그)를 창설했다.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공식적으로 FR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부 리그의 후계 리그로 인정받았다.

리그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 진출했고, 2위, 3위, 컵 우승팀은 UEFA컵에 참가했다. 하위 클럽들은 연고지에 따라 세르비아 2부 리그(''Druga savezna liga Srbija'')와 몬테네그로 2부 리그(''Druga savezna liga grupa Crna Gora'')로 강등되었다.


5. 2. 세르비아 (2006-현재)

2006년 몬테네그로가 독립하면서 세르비아 클럽만으로 구성된 세르비아 수페르리가가 시작되었다.



2006년부터 2023년까지 총 39개 클럽이 참가했다. 18시즌 동안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10번, 파르티잔이 8번 우승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7번 연속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클럽우승 횟수우승 연도준우승 횟수3위 횟수
츠르베나 즈베즈다102007, 2014,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71
파르티잔8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771
보이보디나017
라드니치키 니시011
TSC011
추카리치키005
야고디나001
OFK 베오그라드001


6. 기록

Андрија Калуђеровић|안드리야 칼루제로비치sr (츠르베나 즈베즈다)132011–12파르티잔 (24)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Дарко Спалевић|다르코 스팔레비치sr (라드니치키 크라구예바츠)192012–13파르티잔 (25)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Милош Стојановић|밀로시 스토야노비치sr (야고디나)192013–14츠르베나 즈베즈다 (27)파르티잔야고디나Драган Мрђа|드라간 므르자sr (2) (츠르베나 즈베즈다)192014–15파르티잔 (26)츠르베나 즈베즈다추카리치키Patrick Friday Eze|패트릭 프라이데이 에제영어 (믈라도스트 루차니)152015–16츠르베나 즈베즈다 (28)파르티잔추카리치키Александар Катаи|알렉산다르 카타이sr (츠르베나 즈베즈다)212016–17파르티잔 (27)츠르베나 즈베즈다보이보디나Урош Ђурђевић|우로시 주르제비치sr (파르티잔)
Leonardo da Silva Souza|레오나르도 다 실바 소자pt (파르티잔)242017–18츠르베나 즈베즈다 (29)파르티잔라드니치키 니시Александар Пешић|알렉산다르 페시치sr (츠르베나 즈베즈다)252018–19츠르베나 즈베즈다 (30)라드니치키 니시파르티잔Nermin Haskić|네르민 하스키치bs (라드니치키 니시)242019–20츠르베나 즈베즈다 (31)파르티잔보이보디나Владимир Силађи|블라디미르 실라지sr (TSC)
Ненад Лукић|네나드 루키치sr (TSC)
Никола Петковић|니콜라 페트코비치sr (야보르)162020–21츠르베나 즈베즈다 (32)파르티잔추카리치키Милан Макарић|밀란 마카리치sr (라드니크)252021–22츠르베나 즈베즈다 (33)파르티잔추카리치키Ricardo Gomes|히카르두 고메스pt (파르티잔)292022–23츠르베나 즈베즈다 (34)TSC추카리치키Ricardo Gomes|히카르두 고메스pt (2) (파르티잔)192023–24츠르베나 즈베즈다 (35)파르티잔TSCMatheus Saldanha|마테우스 살다냐pt (파르티잔)
Милош Луковић|밀로시 루코비치sr (IMT)172024–25



'''관중'''



'''단일 경기'''

'''선수'''

'''클럽'''

'''시즌'''

'''골키퍼'''

6. 1. 최다 우승 클럽

구단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츠르베나 즈베즈다351946, 1951, 1953, 1956, 1957, 1959, 1960, 1964, 1968, 1969, 1970, 1973, 1977, 1980, 1981, 1984, 1988, 1990, 1991, 1992, 1995, 2000, 2001, 2004, 2006, 2007, 2014,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24
FK 파르티잔271947, 1949, 1961, 1962, 1963, 1965, 1976, 1978, 1983, 1986, 1987, 1993, 1994, 1996, 1997, 1999, 2002, 2003, 2005,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722
OFK 베오그라드51931, 1933, 1935, 1936, 19396
FK 보이보디나21966, 19894
유고슬라비아21924, 19253
FK 오빌리치119981

[5]

구단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FK 츠르베나 즈베즈다102006-07, 2013-14, 2015-16,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71
FK 파르티잔8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4-15, 2016-1781
FK 보이보디나017
FK 라드니츠키011
TSC011
FK 추카리치키005
OFK 베오그라드001
GFK 야고디나001


6.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선수기간소속팀득점
1Милан Бојачић|밀란 보야비치sr2007–2012, 2016, 2019–2022, 2023-현재추카리치키, 야고디나, 보이보디나, 믈라도스트 루차니, 라드니치키 니시, 나프레다트103
2Александар Катаи|알렉산다르 카타이sr2010–2011, 2012–2013, 2014–2016, 2020–현재보이보디나, 츠르베나 즈베즈다100
3Андрија Калуђеровић|안드리야 칼루제로비치sr2006–2011, 2013, 2016, 2020, 2021, 2022OFK 베오그라드, 라드, 츠르베나 즈베즈다, 보이보디나, 프롤레테르 노비 사드80
4Милан Павков|밀란 파브코브sr2015–2022, 2024-현재라드니치키 니시, 츠르베나 즈베즈다, 추카리치키77
5Мирко Иванић|미르코 이바니치sr2013–2016, 2019–현재보이보디나, 츠르베나 즈베즈다69
6Ricardo Gomes|히카르두 고메스pt2018–2019, 2021-2023파르티잔68
7Огњен Мудрински|오그넨 무드린스키sr2009–2013, 2016–2019, 2023-현재보이보디나, 하이두크 쿨라, 야고디나, 츠르베나 즈베즈다, 스파르타크, 추카리치키66
8El Fardou Ben Nabouhane|엘 파르주 벤 나부하네프랑스어2018–2022츠르베나 즈베즈다65
9Lamine Diarra|라미네 디아라프랑스어2007–2010, 2011–2012파르티잔56
10Драган Мрђа|드라간 므르자sr2008–2010, 2013–2014보이보디나, 츠르베나 즈베즈다54

6. 3. 기타 기록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는 2006년부터 2023년까지 총 39개 클럽이 참가했다.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10번, 파르티잔이 8번 우승하여 두 팀이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특히 츠르베나 즈베즈다는 7번 연속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클럽우승우승 연도준우승3위
츠르베나 즈베즈다102007, 2014, 2016,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71
파르티잔8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5, 201781
보이보디나17
라드니치키 니시11
TSC11
추카리치키5
야고디나1
OFK1



'''관중'''



'''단일 경기'''

'''선수'''

'''클럽'''

'''시즌'''

'''골키퍼'''

7. 스폰서십 및 중계권

세르비아 수페르리가는 스폰서십 및 중계권 계약을 통해 운영 재원을 확보하고 리그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스폰서십의 경우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크레디 아그리콜 세르비아(Crédit Agricole Srbija)가 후원하여 '메리디안 수페르리가'로 불렸고, 이후 옐렌 피보(Jelen Pivo)가 2015년까지 후원하여 '옐렌 수페르리가'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링롱 타이어(Linglong Tire)가, 2022년부터 현재까지는 모차르트 베트(Mozzart Bet)가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6][7] 공식 경기 공인구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나이키(Nike, Inc.)가, 2014년부터 현재까지 엄브로(Umbro)가 공급하고 있다.

중계권의 경우 아레나 스포츠를 통해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에 생중계되며, 2019년 3월부터 O2.TV에서도 방송을 시작했다. 스포츠 클럽 슬로베니아와 매치 TV도 중계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영원한 더비는 해외 언론의 큰 관심을 받는 경기로, 2010년 139번째 더비는 19개국에서 방송되었고 60명 이상의 해외 특파원이 참석했다.

7. 1. 스폰서십

7. 2. 중계권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경기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에서 아레나 스포츠를 통해 생중계된다. 02.TV는 2019년 3월부터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방송을 시작했다. 스포츠 클럽 슬로베니아와 매치 TV도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경기를 생중계한다.

영원한 더비는 해외 언론의 가장 많은 관심을 끄는 경기이다. 2010년, 139번째 영원한 더비는 19개국에서 방송되었으며 60명 이상의 해외 특파원이 참석했다.

8. UEFA 랭킹

UEFA 계수도 참고

유럽 축구 리그에서 세르비아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3] 1990-91 시즌 4위(8.666점)로 최고 성적을 기록했으며, 1996년에는 47위로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 1996년부터 2024년까지의 순위 변동은 아래 그래프와 같다.

2024년 11월 7일[4] 기준, 세르비아의 UEFA 랭킹은 20위이다.

클럽우승준우승
츠르베나 즈베즈다-1991


8. 1. 국가 랭킹

UEFA 계수도 참고

다음 데이터는 유럽 축구 리그 간의 세르비아 계수 순위를 나타낸다.[3]

현재
순위
지난 시즌
순위
변동리그계수
1717 리가트 하알30.625
18213 엑스트라클라사29.625
19201 수퍼스포르트 HNL26.275
20191 모차르트 베트 수페르리가24.075
21183 UPL23.400
22253 알스벤스칸22.000
23241 OTP 뱅크 리가22.000


참조

[1] 웹사이트 UEFA Country Ranking 2011 http://www.xs4all.nl[...] 2011-04-30
[2] Webarchive Average attendance for Serbian league http://www.utakmica.[...] 2012-08-31
[3] 웹사이트 UEFA European Cup Coefficients Database http://www.xs4all.nl[...] Bert Kassies 2012-04-13
[4] 뉴스 UEFA Country Ranking 2024 https://kassiesa.net[...] kassiesa.home.xs4all.nl 2023-06-20
[5] 뉴스 UEFA Team Ranking 2024 https://kassiesa.net[...] kassiesa.home.xs4all.nl 2023-06-15
[6] 웹사이트 Sportske.net - Potpisano - Linglong Super liga! https://www.sportske[...] 2019-04-11
[7] 웹사이트 Mozzart Bet Super liga Srbije https://www.superlig[...] 2022-07-04
[8] 웹사이트 Сербская Суперлига — только на "Матч ТВ"! https://matchtv.ru/f[...]
[9] Webarchive Ogromno interesovanje stranih medija za 139. večiti derbi http://sport.blic.rs[...] 2016-03-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